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5-10-13 17:51:51
기사수정



요가 수업에서 자주 듣는 안내, “코로 숨 쉬세요”는 단순한 전통이나 취향이 아닙니다. 비강 호흡에는 구강 호흡과 근본적으로 다른 생리적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요가 수련의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로 작용합니다.


비강은 점막, 비갑개, 부비동으로 구성된 정교한 공기 처리 시스템입니다.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기능은 구강도 수행할 수 있지만, 비강만이 생성하는 산화질소(NO)는 폐혈관 확장, 환기-관류 불균형 개선, 항균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비강의 자연스러운 저항은 들숨을 안정화시키고, 호흡 동성 부정맥(RSA)과 심박변이도(HRV)를 조절하여 자율신경계 균형에 기여합니다. 결국 같은 호흡량이라도 어디로 들이마시느냐에 따라 폐와 신경계 반응이 달라집니다.


흡기 단계에서 비강의 구조적 저항은 횡격막 중심의 깊은 호흡을 유도하고, 상흉부 과활성을 방지합니다. 호기 단계에서는 입술 오므리기 호흡이나 요가의 우짜이 호흡을 활용하여 의도적 저항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입술 오므리기는 호기 말 양압 형성을 통해 기도의 허탈을 지연시키며, 필라테스에서는 체간 안정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됩니다. 요가에서는 우짜이 호흡을 통해 들숨과 날숨의 성문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리듬과 압력을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우짜이 호흡은 들숨에서 기류 속도와 깊이를 세밀하게 조절하고, 날숨에서 호기 말 압력과 리듬을 정돈합니다. 이는 호흡 동성 부정맥과 심박변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자율신경계 균형 유지에 핵심적입니다. 반면, 입술 오므리기 호흡은 특정 병리 상황에서 호기 말 압력 조절에 집중하며 치료적 목적을 달성합니다. 신경학적으로 성문 조절은 구강 조절보다 중추신경계와 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즉각적이고 정밀한 자율신경계 조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구조적 문제나 염증이 있는 경우(만성 비염, 비중격 만곡, 비용종 등)에는 호흡법 지도 전에 의학적 평가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비강 통로가 확보되지 않으면 효과가 제한되거나 잘못된 보상 패턴이 고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나치게 깊은 호흡, 장시간 정지, 과도한 성문 조절 등은 어지럼증, 사지 저림, 흉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국 요가 지도에서 비강 호흡을 기본으로 삼는 이유는 NO 전달과 적정 흡기 저항이라는 생리적 장점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필요시 우짜이를 통해 호기 말 압력과 리듬을 정돈할 수 있으며, 중요한 점은 호흡을 기술적 도구로만 보지 않고 현재 순간의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고 수용하는 태도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수업 현장에서 자율신경과 호흡생리학적 기능의 긍정적 변화를 관찰하고, 지도자는 생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별 상황에 맞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호흡 지도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유현이 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therapy.co.kr/news/view.php?idx=2457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